분류 전체보기 48

[빅데이터분석기사] 제 4회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및 최종 합격 후기

최근 방학동안 이것저것 개인 활동을 하느라 바쁘던 와중이었다. 오늘 문자로 미리 가채점 점수가 나왔다고 해서 급히 사이트에 들어가 점수를 확인했다. 과거 6월 25일에 실기 시험을 치뤘고, 그 결과로 다음의 점수를 얻어낼 수 있었다. 예상했던 것보다 성적이 매우 좋게 나와서 안정적으로 합격할 수 있었다. 실기 또한 필기시험처럼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점수를 넘겨야 합격인데, 위 사진처럼 무려 84점이라는 높은 점수로 합격했다;;; 단답형에선 2문제 정도 틀린 것 같고, 작업형 1유형은 1문제 틀리고, 작업형 2는 만점으로 나왔다. 사실 빅분기 실기를 준비하면서 어떤 식으로 준비해야 하나 고민이 들었고, 실기 시험 방식을 찾아보니 코딩형으로 문제가 나온다 해서 기존에 했던 방식을 바꿔 학습을 진행했다..

여러 후기 2022.07.08

[정보처리기사] 2022 1회 실기 시험 최종 합격 후기 및 난이도 평가

과거 정보처리기사가 개나소나(?) 딸 수 있다던 명분과 달리 최근 개정이 되면서 점차 전공자를 위한 자격증으로 변해왔다는 점은 알고 있었다. 또한, 모든 문제가 서술형이라서 그런지 애당초 난이도가 꽤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다만, 전공자인 내가 봤을 때는 이번꺼는 좀 문제가 까다롭게 나왔던 것 같다. 개념을 단순 암기로 외워버리면 풀 수 없는 문제들도 많이 나왔고, 새로운 개념들도 꽤 많이 출몰했다. 그나마 코딩 문제가 많아서 일정 수준 이상의 배점은 얻을 수 있겠으나, 이번 시험은 단일 언어 코딩만 한 전공자들도 걸러낼 작정으로 문제를 낸 것 같다 느껴졌다. (다양한 언어로 자유롭게 코딩을 했을수록 수월하게 문제를 풀어냈을 것이라 본다.) 원래 프로그래밍 언어야 다양하게 나오고, 프로그래밍 문제만 보면..

여러 후기 2022.06.17

[빅데이터분석기사] 제 4회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합격 후기

바빴던 중간고사 시즌도 끝나가고 어느덧 4월 말에 다와갔다. 이제 다시 기존에 하던 일들을 하려던 도중 반가운 소식이 문자로 왔다. 원래는 다음 주 쯤에 공개되어야 할 기사 성적이 오늘 예비 공개되었다는 내용이다. 지난 4월 9일날 시험을 치르러 갔기에 내심 결과가 궁금하였다. 결과는 운 좋게도 합격으로 나왔다. 전체 100점 만점 대비 60점 이상 넘어야 하고, 과목마다 40퍼 이상 정답을 맞춰야 하는데, 각 4개 단원 모두 최소 60% 이상의 정답을 맞췄고, 총합 76.25점으로 합격 통보를 받게 되었다. 사실 이전에 ADP를 준비한 경험이 있어서 조금 수월하게 정보들을 다시 리마인드할 수 있지 않았나 싶다. (ADP가 난이도는 높지만 생각보다 다른 자격증 칠 때 효자역할을 톡톡히 해주고 있다.) 다..

여러 후기 2022.04.22

[자료구조] 세그먼트 트리(Segment tree)와 이를 활용한 문제들

Intro 백준 온라인 저지 사이트에서 문제를 풀다보면 기상천외한 개념들을 배우는 경우가 허다하다. solved.ac에서 class별 제시되는 대표 문제 중 CLASS 6으로 분류된 문제를 보면 세그먼트 트리를 활용해 푸는 문제가 잘 나온다. 따라서 여기선 구체적인 문제를 푼다기 보다는 세그먼트 트리가 무엇인지를 개념적으로 기술할 생각이다. 코드는 조금만 검색하면 거의 정형화된 형태로 나와있어서 굳이 여기선 작성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행여나 필요하면 차후에 관련 문제들 리마인드용 해설을 적으면서 코드를 기술하려 한다. 대표 문제 2042번 - 구간 합 구하기 https://www.acmicpc.net/problem/2042 11505번 - 구간 곱 구하기 https://www.acmicpc.net/p..

알고리즘 2022.04.18

[정보처리기사] 22년도 제 1회 기사 필기 합격 후기

방금 9시 결과 발표를 봤고, 예상대로 합격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사실 여기서 그렇게 적을 내용은 없고, 주요 내용은 이미 과거 글에 올려놓아서 여기를 참고하면 되겠다. 과거 후기 링크: https://rubpcase.tistory.com/50 점수도 예상대로 잘 나왔다. 1~5단원 순으로 각각 95점, 80점, 100점, 90점, 85점이 나왔고, 총점 평균 90점으로 결과가 나왔다. 전공자 효과 때문에 높게 점수를 받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데이터 분석 자격증을 공부하며 나왔던 개념들도 많이 보였고, 실기는 내가 알기론 과거 쉬운 시절에서 개정이 되어서 전면 서술식이 되었다라고 알고 있다. 따라서 필기보다 좀 더 대비를 해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도 실기도 다른 자격증에 비해 딸 확률이 꽤 된다..

여러 후기 2022.03.23

[ADP] 제24회 데이터분석 전문가(ADP) 필기 합격 후기

지난 2월 26일날 토요일에 전문가 과정 시험을 치렀던 적이 있었다. 시험이 오전 10시부터 시작이었는데 9시 반까지가 입실이라고 해서 미리 고사장에 도착해서 요약본을 봤던 기억이 남는다. 당시 ADP와 ADsP 모두 한 학교에서 시험을 치뤘는데, 그 중 30개 고사장은 ADsP였고 한 3 ~ 4개 분반만 ADP였다. (치는 사람 수가 적었다) 게다가 그 마저도 내가 있던 분반에선 20명 정원 중 11명이 안 왔었다. (필기도 접수비 8만원이라 안 오면 아까운데) 시험 시간은 약 3시간 정도인데, 실제로 쓴 시간은 1시간 반밖에 안 걸렸다. 내가 있던 고사장에서 내가 시험장 탈출(?) 금메달인 것 같았다. 자격증 시험을 이것 저것 치뤄보긴 했는데, 현재까지는 이게 가장 어려웠던 것 같다. 일단 단원이 5..

여러 후기 2022.03.21

[데이터분석] 구글 스프레드시트 활용하기 -2

Intro 이전 글: https://rubpcase.tistory.com/49 앞선 챕터에서 스프레드시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간단하게 사용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에는 조금 더 넘어가서 함수와 피벗 테이블(피봇 테이블)을 만들고 활용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 것이다. 사실 이런 시트에서 사용하는 함수는 진짜 많은데, 여기선 아주 조금만 다룰 생각이다. (컴활 1급 자격증 책 보면 알겠지만 외워야 할 함수가 너무 많다...) 함수 사용하기 1 (제조사 명 추출) 이번에는 시트에서 함수를 활용해 볼 생각이다. 스프레드시트에는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함수들이 제공되고 있다. 앞선 글에서도 importdata()와 같은 친구를 활용했는데, 이게 함수라 보면 된다. 먼저 위와 같이 지난 번에 사용했던 엑셀의 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