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3

[데이터분석] 유튜브 데이터 분석하기 -2

Intro 지난번엔 유튜브 정보를 끌어오기 위한 기본 설정을 했다. 이번엔 앞선 코드를 조금 더 변형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크롤러를 제작하려 한다. 또한, 차후 다른 데이터 파일로 활용할 수 있도록 DataFrame의 형태로 추출하려 한다. 이번 장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간단한 크롤러를 제작하자 유튜브 API의 쿼리 할당량을 알아보자 레퍼런스를 확인해보자 모듈 불러오기 from urllib.parse import quote import urllib.request import json import pandas as pd # DataFrame 형태로 자료를 저장 import time # 시간 측정 용먼저 사전에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불러오자. 이전 장에서 다뤘던 라이브러리도 있으며, 새로 추가된 친구..

[데이터분석] 유튜브 데이터 분석하기 -1

Intro 내가 과거 어떤 기업체에서 현장실습을 하면서 유튜브의 정보를 끌어오는 업무를 받은 적이 있었다. 해당 팀장님께 여쭤보면서 API를 활용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배웠는데, 처음 사용하다 보니 그때 당시엔 다소 복잡하게 느껴졌다. 따라서 '유튜브 데이터 분석하기' 시리즈에선 여기서는 유튜브의 데이터를 끌어오는 방법을 기술하고 이를 활용하는 과정을 기술하려 한다. 나도 그때그때 맞춰가면서 포스팅할 생각이라 중간중간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일단 현재 게시물에서 다룰 주제는 다음과 같다. 유튜브 API 등록하기 구글 Colab 활용하기 API 요청해서 정보 받기 (간단) 기본 베이스 당연하지만 구글 계정이 필요하다. 만일 학교 연동 계정이라면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으니 어떤 계정을 쓸 지..

인공지능은 과연 생각보다 똑똑할까?

AI isn't as smart as you think -- but it could be 22년도 1월 13일자로 나온 영상. (원제: AI isn't as smart as you think -- but it could be) 구글의 전설이라 불리는 프로그래머 제프 딘(Jeef dean)이 인공지능과 관련된 대중 강연을 수행했다. 인공지능이라는 학문은 컴퓨터의 성능이 별로이던 시절부터 수학적으로 연구된 아주 심도 있는 학문이다. 그러나 몇 번의 침체기를 맞게 되는데, 그러한 침체기에서 다시 트렌드로 성장할 수 있게 된 계기가 바로 신경망(Neural network)의 적용이라 볼 수 있다. 물론, 무어의 법칙을 따라가는 컴퓨터의 성능 향상으로 인한 요소도 존재한다. 신경망이라고 하면, 입력값과 가중치를 ..

기술동향 2022.01.29
728x90